반응형
조립컴퓨터에 문외한인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글입니다.
참고글의 너무 내용이 길 경우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파란색 글씨는 문의를 통해 받은 업체 또는 개인의 답변을 정리한 것입니다.
초보자 가이드를 이용해 조립컴퓨터 견적을 맞추시는 분들은
-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독한 후, 다나와 등의 가격 비교 사이트에서 실제로 견적을 내보며 부품별로 비교해보세요.
-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가이드 글로 돌아와 참고하며 비교를 이어가시면 됩니다.
- 견적을 낸 뒤에는 퀘이사존같은 커뮤니티에 부품을 고른 이유와 함께 견적을 문의하여 어떠한 부분을 다시 고려해야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받아보세요.
- 여러번 반복하시다보면 점차 견적이 맞추어질겁니다.
< CPU >
: 컴퓨터의 지능, 머리에 해당한다.
[ 코어 ]
- CPU의 일꾼.
- 다중코어는 두 개 이상의 코어를 말한다. 옛날에는 싱글코어만 있었다.
- 다중코어는 코어가 할 일을 적절하게 분배해 주지 못하여 싱글코어보다 효율이 떨어지지만, 클럭수가 올라가며 발생하는 열을 분산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지금은 코어 분배가 잘 되어서 효율성은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 게임, 작업용으로는 12~16코어, 문서용으로는 4~8코어 추천한다고 한다.
- 다중코어의 경우 AMD 라이젠 시리즈가 좋다고 하지만, 인텔에서도 다중코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두 CPU 사이의 차이는 거의 없다. 하지만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성능과 필요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에는 어떤 CPU가 좋은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 어도비 등 다중코어를 활용하지 못하는 프로그램은 인텔 i 시리즈가 좋다고 한다.
현재는 인텔도 다 다중코어를 활용하고 있지만, E코어의 성능이 좋지 못해 (오버클럭보다 좋지 못하다는 평이 주를 이룸.) 안정과 성능을 고려해 대부분 E코어를 끄고 작업을 하고 있는 추세이다. ** 이에 관한 참고 내용이 윈도우편 글에 있습니다.
[ 클럭 ]
- 전기신호를 내보내는 속도. 단위는 Hz(헤르츠)이다.
- Hz가 높다고 컴퓨터가 빠른 것은 아니지만, 품질에 따라 속도 차이가 있을 수는 있다.
- Hz가 높을수록 더 많은 열을 방출한다.
- CPU의 등급이 올라갈수록 발열량과 전압이 올라가서 더 비싼 메인보드, 쿨러, 케이스 등이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전체적으로 더 많이 들어가게 된다.
[ 내장그래픽 ]
- 내장그래픽이 없으면 CPU의 가격이 더 저렴하다. 방송용인 경우 퀵싱크 내장그래픽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그러하다면 논F로 가야한다. 필수는 아니지만 권장된다.
- 컴퓨터에 대해 잘 모르면 내장그래픽이 있는 것으로 구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 제품을 고를 때 참고할 내용 ]
- 인텔은 ' - ' 뒤에 나오는 숫자 앞자리가 세대숫자이며, 그 뒤의 숫자가 높을수록 성능이 좋아진다.
인텔 CPU에서 뒤에 붙는 알파벳
- K : 오버클럭 가능
- F : 내장그래픽 없음
AMD CPU에서 뒤에 붙는 알파벳
- X : X 없는 것보다 성능이 높다고 한다. 대신 발열량도 높다.
- F : 내장그래픽 없음
벌크제품
- 정품보다 저렴하지만 박스가 없어 A/S가 안될수도 있다.
- 초반에 망가지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그럴 경우 초반에는 A/S를 해줄 수도 있다고 한다.
AMD와 인텔의 성능 비교
일러스트 관련 프로그램의 경우 인텔은 9천번대, 라이젠은 5천번대부터 CPU성능으로 인한 차이가 거의 없다.
이 경우 CPU 또는 다른 하드웨어의 문제보다는 OS(윈도우)의 최적화 문제로 인한 버벅거림일 가능성이 높다.
반증으로, 그림이나 영상 관련 작업의 경우 성능이 떨어진다고 하는 맥과 같은 폐쇄형 OS에서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
- 인텔은 현재 13, 14세대의 언리얼 엔진 오류 문제가 있어서 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이상이 있는 제품의 경우 서비스센터에서 교체받을 수 있다고 한다.
- 라이젠 7600은 7500F에 비해 발열, 전력 소모량이 높아 듀얼타워 쿨러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내장그래픽 유무로 인한 가격의 차이가 있지만, 이 내장그래픽의 성능은 그렇게 고평가받지 못하고 있다.
반응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립컴퓨터 초보자 가이드 : SSD 편 (24.07.v) (0) | 2024.10.23 |
---|---|
조립컴퓨터 초보자 가이드 : HDD 하드디스크 편 (24.07.v) (0) | 2024.10.23 |
조립컴퓨터 초보자 가이드 : 그래픽카드 편 (24.07.v) (2) | 2024.10.23 |
조립컴퓨터 초보자 가이드 : 메인보드 편 (24.07.v) (1) | 2024.10.22 |
조립컴퓨터 초보자 가이드 : 메모리 RAM 편 (24.07.v) (0) | 2024.10.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