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조립컴퓨터 초보자 가이드 : SSD 편 (24.07.v)

by 별 2024. 10. 23.
반응형

조립컴퓨터에 문외한인 초보자를 위한 가이드 글입니다.

참고글의 너무 내용이 길 경우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파란색 글씨는 문의를 통해 받은 업체 또는 개인의 답변을 정리한 것입니다.

 

 

 

 

 


 

 

초보자 가이드를 이용해 조립컴퓨터 견적을 맞추시는 분들은

 

  1.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독한 후, 다나와 등의 가격 비교 사이트에서 실제로 견적을 내보며 부품별로 비교해보세요.

  2. 모르는 내용이 있으면 가이드 글로 돌아와 참고하며 비교를 이어가시면 됩니다.

  3. 견적을 낸 뒤에는 퀘이사존같은 커뮤니티에 부품을 고른 이유와 함께 견적을 문의하여 어떠한 부분을 다시 고려해야하는지에 대한 답변을 받아보세요.

  4. 여러번 반복하시다보면 점차 견적이 맞추어질겁니다.

 


 

 

 

< SSD >

: 저장 장치의 종류 중 하나이다.

 



 

  • 보통 500기가에서 1테라 사이로 구입하며, 영상 작업의 경우 작업물의 크기가 100기가가 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개인에게 맞는 용량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 읽고 쓰는 속도, 컨트롤러 제조사가 구매의 척도이다.
  • 최소 평균속도 400 이상이면 충분하다고 하며, 벤치테스트 결과는 구글링을 통해 찾아볼 수 있다.

 

 

 

 

  • 디램리스 제품은 SSD가 가득 찰수록 느려지기 때문에 디램(DRAM)이 있는 것으로 구입해야 한다.

[ 디램(DRAM) ]

  • SSD 컨트롤러(SSD의 부품) 기능 중 하나. SSD 내부 저장공간과 RAM간의 속도 차이를 완충시키는 역할을 함.
  • 디램리스(DRAMLESS)는 디램이 없는 것. 속도가 느리다.
  • 인터넷에 검색하면 디램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음.

 

 

 

 

 

 

 

[ 제품을 고를 때 참고할 내용 ]

 

 

  • 삼성, SK하이닉스의 제품을 주로 사용하지만, 현재 삼성 제품에 대한 이슈가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 현재 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삼성, SK하이닉스 > Western Digital > 마이크론 순서인 듯 하다.
  • 뒤에 붙는 대원씨티에스, 아스크텍 등은 그중 저렴한 것으로 고르면 된다. 이 회사들은 A/S를 해주는 곳이다.

 

 

 

 

  • 현재 PCIe 5.0이 나오고 있어서 3.0은 되도록이면 피하는 것이 좋다. 3.0과 4.0은 가격면에서도 큰 차이가 없다. PCIe 에 따라 속도 성능 차이가 있다.
  • 열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고 성능 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방열판을 따로 추가하는 것이 좋다. 가격은 천원 이천원대이다.








  • 현재 마이크론 T500 / SK하이닉스 P41 / Western Digital SN850X 가 3대장으로 불리고 있다.

 

 

[ SK 하이닉스 P41 /  Western Digital SN850X ]

 

300기가 이상 구간에서(추정) 속도 저하 문제가 있다고 한다.

 

 

 

[ 마이크론 T500 ]

 

지속쓰기에 문제가 있지만 100기가 단위로 옮기지 않는 이상은 속도 차이가 크게 나지는 않는다.

 

이 지속쓰기 문제로 인한 펌웨어 업데이트가 24년 4월 있었으나,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버전(P8CR001)의 경우 본사에 연락하여 교환을 받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 제조된 제품의 경우 업데이트가 가능한 버전(P8CR002 이상)으로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받기 전까지 확인할 수 없는 부분이므로 주의해야한다.

 

Q. 구입할 때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한 002로 달라고 할 수 있는가?

A. 원칙적으로는 판매자에게 전화로 연락하여 진행하는 방법이 있지만, 각종 사기가 많은 컴퓨터 판매업이라서 구입하지 않는것을 적극 권장한다.







 

 

 

반응형

댓글